설치의 중심에는 괘불에서 영감을 받은 수직형 LED 스크린이 자리한다. 괘불은 야외 불교의식에서 사용되는 대형 족자 형식의 불화로, 작가는 이를 한국 문화에서 가장 이른 형태의 미디어 파사드로 간주한다. 스크린은 산업 자재로 구성된 조각적 개입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이는 인프라의 붕괴와 가상 도시의 풍경을 동시에 환기하는 공간적 몸짓을 형성한다.
영상은 과학적 연구와 한국 신화를 모두 참조하여, 백제 금동대향로에 표현된 정교한 세계에서 발견되는 모티프들을 통해 가상 생태계를 재구성한다. 빛나는 형상이 LED 화면을 떠돌며 잠긴 도시의 단편적인 모습을 암시하고, 인근의 VR 체험 부스에서는 관람객이 보다 깊은 해저 풍경 속으로 몰입할 수 있도록 초대한다.
이러한 신화적, 물질적 참조들은 단순한 미적 영감에 그치지 않고, 생태적·정서적 긴급성에 응답하는 서사의 틀로 작용한다. 이야기가 어떻게 변모할 수 있는지, 그리고 상상이 어떤 방식으로 미래를 구축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장치로 기능한다.
Pickled City: Dive is a video installation composed of a looped animation and a Virtual Reality experience, situated within Yaloo’s Pickled City ecosystem—a speculative underwater city where humans and non-humans coexist in entangled futures.
At the center of the installation is a vertical LED screen inspired by Gwaebul (괘불)—large-scale Buddhist hanging scrolls traditionally displayed in outdoor rituals, which the artist considers one of the earliest media facades in Korean culture. Framed by scaffolding, the screen is surrounded by sculptural interventions using industrial materials, forming spatial gestures that evoke both infrastructural decay and speculative urbanscape.
The video draws from both scientific research and Korean mythologies, reimagining speculative ecologies through motifs found in the intricate worlds depicted on the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백제금동대향로). A glowing, animated form drifts across the LED surface, offering a distant glimpse of the submerged city, while a nearby VR station invites viewers to dive deeper into its immersive seascape.
These mythological and material references serve not only as aesthetic inspirations but also as narrative frameworks—ways to imagine how storytelling might respond to ecological and emotional urgen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