얄루는 일상 생활 속 디지털 무빙 이미지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예민하게 인지하며 동시에 작가로서 고유의 언어와 세계관을 통한 몰입형 스토리텔링을 확장하는 작업을 해왔다. 프로젝션 맵핑 조형, 미디어 파사드, VR 등 다양한 장소에서의 비디오 설치와 화이트 큐브에서 거대한 창고까지 다양한 장소와 상황에 따른 대형 프로젝션 맵핑 조형시리즈물을 선보이며 비디오를 이용한 실험적인 스토리텔링을 고민하며 탐구하고 있다.

I am a visual artist working with digital moving image installations. My work begins by collecting fragments of daily life and transforming them into compelling narratives that push the boundaries of digital moving images. I continuously gather moments that leave a strong impression—from a theorist's sentence, artifacts in museums, construction sites in alleyways, to fairy tale audiobooks from my childhood, and Instagram Reels. By translating, re-embodying, and re-establishing these seemingly fragmented pieces, I excavate contemporary stories with my distinct, playful gestures through site-specific video installations. With a deep affection for and interest in cultural relativism from the perspective of a Korean living abroad, my recent worldbuilding is based on scientific imagination and mythological solutions, naturally drawing an interest in new technologies. I believe regional mythology and folklore have transcended time through inductive observation. I aim to make technology both absurd and humane, amplifying overlooked gaps in rapid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exploring the limits and possibilities of humankind as part of the natural world.

미디어 작가 얄루는 시카고 예술 대학교(th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에서 비디오 아트로 학사와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한국국립아시아문화전당, 미국 헤드랜드 아트센터, 일본 후쿠오카 아시안미술관, 캐나다 라반데 비디오, 캐나다 웨스턴 프론트 소사이어티, 미국 베미스 스튜디오 아트센터, 미국 버몬트 스튜디오 아트센터의 펠로우쉽 등에 선정된 바 있으며 비디오 데이터 뱅크의 린 블루멘탈 기념장학프로그램, 뉴욕 AHL 재단 시각 예술 금상을 수상한 바 있다. 캐나다 마니프 퀘벡 예술 비엔날레 (Manif d’Art), 벨기에 이미지 퍼시블 비엔날레 (Biennale de L’Image Possible)등 다양한 비엔날레를 포함 영국 최대 미디어 아트기관 팩트 리버풀(FACT Liverpool) 네덜란드 참여 등 다수의 개인 및 단체전에 참여하여 세계를 무대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Yaloo is a South Korean visual artist working with digital media. She earned BFA and MFA in video art from th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the USA. She has been selected for fully funded international residencies such as Zer01ne and Asia Culture Center in Korea, the Fukuoka Asian Art Museum in Japan, Western Front and La Bande Video in Canada, the Headlands Art Center and Bemis Studio Art Center in the USA. She has participated in numerous exhibitions and screenings around the world. She was awarded a Lyn Blumenthal Memorial Scholarship by Video Data Bank, USA and won a Gold Prize in visual arts from the AHL Foundation in New York. She is a recent Gyeonggi MoMA & IBK Young Artists Award Winner and completed a solo exhibition at Gyeonggido Museum of Art, Korea. She is a faculty at the department of Experimental Animation, School of Film/Video,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She completed her residency at 836m in San Francisco in fall and Pier 2 Art Center, Kaohsiung, Taiwan as part of Geofiction in summer of 2024.

연도 Year
프로젝트 Project
미디엄 Media
위치 Location
2022
피클 시티 다이브 Ver.2022 Pickled City Dive Ver.2022
3D 애니메이션, VR, 조명, 접히고 펴지는 향로, 사다리, 쇠파이프, pvc, 커튼레일 3D animation, VR, lights, foggy incense burner, dock ladder, steel pipe, pvc, steel curtain rail
2022 제로원데이, 서울, 한국 2022 ZERO1NE, Seoul, South Korea
 

는 루프 애니메이션과 가상현실(VR) 체험으로 구성된 영상 설치작업으로, 얄루가 구축한 픽클드 시티 생태계의 일부이다. 픽클드 시티는 인간과 비인간 존재가 뒤얽힌 미래 속에서 공존하는 가상의 해저 도시를 상상한 세계다.

설치의 중심에는 괘불에서 영감을 받은 수직형 LED 스크린이 자리한다. 괘불은 야외 불교의식에서 사용되는 대형 족자 형식의 불화로, 작가는 이를 한국 문화에서 가장 이른 형태의 미디어 파사드로 간주한다. 스크린은 산업 자재로 구성된 조각적 개입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이는 인프라의 붕괴와 가상 도시의 풍경을 동시에 환기하는 공간적 몸짓을 형성한다.

영상은 과학적 연구와 한국 신화를 모두 참조하여, 백제 금동대향로에 표현된 정교한 세계에서 발견되는 모티프들을 통해 가상 생태계를 재구성한다. 빛나는 형상이 LED 화면을 떠돌며 잠긴 도시의 단편적인 모습을 암시하고, 인근의 VR 체험 부스에서는 관람객이 보다 깊은 해저 풍경 속으로 몰입할 수 있도록 초대한다.

이러한 신화적, 물질적 참조들은 단순한 미적 영감에 그치지 않고, 생태적·정서적 긴급성에 응답하는 서사의 틀로 작용한다. 이야기가 어떻게 변모할 수 있는지, 그리고 상상이 어떤 방식으로 미래를 구축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장치로 기능한다.

Pickled City: Dive is a video installation composed of a looped animation and a Virtual Reality experience, situated within Yaloo’s Pickled City ecosystem—a speculative underwater city where humans and non-humans coexist in entangled futures.
At the center of the installation is a vertical LED screen inspired by Gwaebul (괘불)—large-scale Buddhist hanging scrolls traditionally displayed in outdoor rituals, which the artist considers one of the earliest media facades in Korean culture. Framed by scaffolding, the screen is surrounded by sculptural interventions using industrial materials, forming spatial gestures that evoke both infrastructural decay and speculative urbanscape.
The video draws from both scientific research and Korean mythologies, reimagining speculative ecologies through motifs found in the intricate worlds depicted on the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백제금동대향로). A glowing, animated form drifts across the LED surface, offering a distant glimpse of the submerged city, while a nearby VR station invites viewers to dive deeper into its immersive seascape.
These mythological and material references serve not only as aesthetic inspirations but also as narrative frameworks—ways to imagine how storytelling might respond to ecological and emotional urgen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