얄루는 일상 생활 속 디지털 무빙 이미지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예민하게 인지하며 동시에 작가로서 고유의 언어와 세계관을 통한 몰입형 스토리텔링을 확장하는 작업을 해왔다. 프로젝션 맵핑 조형, 미디어 파사드, VR 등 다양한 장소에서의 비디오 설치와 화이트 큐브에서 거대한 창고까지 다양한 장소와 상황에 따른 대형 프로젝션 맵핑 조형시리즈물을 선보이며 비디오를 이용한 실험적인 스토리텔링을 고민하며 탐구하고 있다.

I am a visual artist working with digital moving image installations. My work begins by collecting fragments of daily life and transforming them into compelling narratives that push the boundaries of digital moving images. I continuously gather moments that leave a strong impression—from a theorist's sentence, artifacts in museums, construction sites in alleyways, to fairy tale audiobooks from my childhood, and Instagram Reels. By translating, re-embodying, and re-establishing these seemingly fragmented pieces, I excavate contemporary stories with my distinct, playful gestures through site-specific video installations. With a deep affection for and interest in cultural relativism from the perspective of a Korean living abroad, my recent worldbuilding is based on scientific imagination and mythological solutions, naturally drawing an interest in new technologies. I believe regional mythology and folklore have transcended time through inductive observation. I aim to make technology both absurd and humane, amplifying overlooked gaps in rapid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exploring the limits and possibilities of humankind as part of the natural world.

미디어 작가 얄루는 시카고 예술 대학교(th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에서 비디오 아트로 학사와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한국국립아시아문화전당, 미국 헤드랜드 아트센터, 일본 후쿠오카 아시안미술관, 캐나다 라반데 비디오, 캐나다 웨스턴 프론트 소사이어티, 미국 베미스 스튜디오 아트센터, 미국 버몬트 스튜디오 아트센터의 펠로우쉽 등에 선정된 바 있으며 비디오 데이터 뱅크의 린 블루멘탈 기념장학프로그램, 뉴욕 AHL 재단 시각 예술 금상을 수상한 바 있다. 캐나다 마니프 퀘벡 예술 비엔날레 (Manif d’Art), 벨기에 이미지 퍼시블 비엔날레 (Biennale de L’Image Possible)등 다양한 비엔날레를 포함 영국 최대 미디어 아트기관 팩트 리버풀(FACT Liverpool) 네덜란드 참여 등 다수의 개인 및 단체전에 참여하여 세계를 무대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Yaloo is a South Korean visual artist working with digital media. She earned BFA and MFA in video art from th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the USA. She has been selected for fully funded international residencies such as Zer01ne and Asia Culture Center in Korea, the Fukuoka Asian Art Museum in Japan, Western Front and La Bande Video in Canada, the Headlands Art Center and Bemis Studio Art Center in the USA. She has participated in numerous exhibitions and screenings around the world. She was awarded a Lyn Blumenthal Memorial Scholarship by Video Data Bank, USA and won a Gold Prize in visual arts from the AHL Foundation in New York. She is a recent Gyeonggi MoMA & IBK Young Artists Award Winner and completed a solo exhibition at Gyeonggido Museum of Art, Korea. She is a faculty at the department of Experimental Animation, School of Film/Video,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She completed her residency at 836m in San Francisco in fall and Pier 2 Art Center, Kaohsiung, Taiwan as part of Geofiction in summer of 2024.

연도 Year
프로젝트 Project
미디엄 Media
위치 Location
2024
얄루 - 못, 문, 루 Yaloo - MOT, MOON, ROO
비디오 설치 video installation
경기도미술관 15385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동산로 268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268 Dongsan-ro, Danwon-gu Ansan-si, Gyeonggi-do, 15385, Korea

ROO는 얄루의 ‘언더워터 트릴로지’의 완결편 영상 작업으로, 2024년 경기도미술관(GMOMA)에서 열린 작가의 첫 개인전이자 첫 미술관 전시에서 공개되었다. 이 영상은 전시 공간 내 정자 형태의 파빌리온 안에 설치되었으며, 해조류에서 영감을 받아 광합성으로 진화한 포스트-휴먼 종족 ‘호모 파울리넬라(Homo Paulinella)’의 여정을 따라간다.

작품의 배경이 되는 ‘Pickled City’는 기후 붕괴, 조상들의 기억, 기술-문화의 잔재가 퇴적되어 형성된 미래 아시아의 형광 도시로, 호모 파울리넬라는 이곳에서 인간 중심적 사고를 넘어서는 새로운 서사의 매개체가 된다. CG 애니메이션, 층위적인 사운드, 시적인 내레이션으로 구현된 ROO는 영상 매체를 통한 경험을 실험적으로 확장하며, 조형 설치, 가상 세계 구축, 몰입형 시각 언어를 결합한 디지털 시네마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 작업은 정체성과 존재를 사유하는 방식에 있어, 가상의 생태, 의례적 미학, 미래적 신화 구축을 통해 부드럽고 유령 같은 생존의 비전을 제시한다.

이번 GMOMA 전시는 ‘언더워터 트릴로지’의 세 챕터인 , , 를 하나의 통합된 공간 안에 재설치하고 재맥락화하였다. 각 작업은 트릴로지의 상징적 요소를 반영한 새로운 건축적 구조 속에서 선보였으며, ROO의 누각(nu-gak), MOON:Gate, MOT:Pond 등의 공간 장치가 그 연속성을 강화하였다. 전시는 홀로그램 스크린, 바닥 프로젝션, 시청각 레이어링 등을 통해, 디지털 의례, 종 간 기억, 문화적 퇴적물이 뒤섞이는 시적인 포스트-휴먼 우주론을 제안하였다. 이는 인간 이후의 삶을 애도하고, 돌연변이적으로 상상하며, 끊임없이 이어지는 액체적 우화를 구성한다.

ROO is the culminating video work in Yaloo’s Underwater Trilogy, premiering as part of her first solo and first museum exhibition at the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GMOMA) in 2024. Set within a pavilion inside Birthday Garden, the video follows Homo Paulinella—a post-human species evolved from humans through photosynthetic adaptation, inspired by seaweed. Inhabiting Pickled City, a speculative, bioluminescent metropolis set in future Asia—built from the sediment of climate collapse, ancestral memory, and techno-cultural residue—Homo Paulinella becomes a conduit for a new, non-anthropocentric narrative of life. Rendered through CG animation, layered sound, and poetic narration, ROO rigorously experiments with mediated experiences of the moving image. It expands the possibilities of digital cinema by merging sculptural installation, speculative worldbuilding, and immersive visual language. The work reframes identity and being through speculative ecology, ritual aesthetics, and future myth-making—offering a soft, haunting vision of persistence. The GMOMA exhibition brought together all three chapters of the Underwater Trilogy—Birthday Garden, Homo Paulinella: The Lab, and Pickled City—into a unified, spatially-driven environment. Each work was re-installed and re-contextualized within newly created architectural structures that echoed the trilogy’s symbolic anchors: ROO’s nu-gak (traditional Korean pavilion), MOON:Gate, and MOT:Pond, enhancing the continuity of their shared world. Through holographic screens, floor projection, and audio-visual layering, the exhibition proposed a poetic post-human cosmology—where digital ritual, interspecies memory, and cultural sediment coalesce into an aqueous fable that mourns, mutates, and imagines life beyond the human.